내년 제주 4·3사건 70주기를 앞두고 4·3에 대한 정명(正名) 찾기와 함께 세대적 계승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는 데 목소리가 모아졌다.

18일 오후 제주벤처마루 백록담홀에서 더불어민주당 강창일·오영훈·위성곤 국회의원과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준비위원회가 주최한 '제주4·3 70주년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는 '제주 4·3 70주년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를 주제로 내년 제주 4·3 70주기 사업의 방향과 주요 내용, 민간 차원의 준비위 구성 등의 사안이 종합적으로 논의됐다.

발제에 나선 이규배 제주국제대학교 교수와 김수열 제주작가회의 회장은 내년 70주기가 4·3을 직접 체험한 세대들의 마지막 10년 주기임을 강조하며, 4·3에 대한 세대적 계승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

이 교수는 "4·3에 대한 정명(正名) 찾기를 바탕으로 교육, 문화, 관광 등 대중적 세대계승을 위한 사회문화적 여건과 새로운 세대의 연구자 발굴을 위한 학술연구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며 "또 후세 교육의 사례가 되는 '4·3 의인'을 발굴, 현양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도 "4·3은 망각에 대한 투쟁, 즉 기억을 위한 싸움"이라며 "미래를 이끌어 갈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양민을 학살한 권력의 본질을 알리고, 기억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도민적·국민적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해 제주에서부터 범국민적 기구를 꾸려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토론에 나선 박찬식 육지사는제주사름 대표는 "50주기에는 4·3의 진실을 덮어둔 채 반세기를 넘길 수 없다는 대의와 명분이 있어 서울에서 범국민위원회를 구성하면 됐었다"면서 "그러나 70주년은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70주년을 기점으로 짧으면 앞으로 10년, 길면 한 세대를 갈 수 있는 새로운 의제를 제기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4·3 진상규명·명예회복 운동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