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9일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탈핵과 탈석탄 발전을 선언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내용으로 국가 에너지정책의 대전환을 선언했다.

‘탈원전+탈석탄 로드맵’을 통해 건강한 에너지, 안전한 에너지, 깨끗한 에너지의 시대로 가겠다는 게 문재인 정부의 복안이다.

이 같은 문재인 정부의 국가 에너지정책의 대전환은 오는 2030년까지 ‘카본 프리 아일랜드(탄소 없는 섬)’를 만들겠다는 제주에게 기회이자 위기가 되고 있다.

제주도는 2012년부터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정책을 통해 2016년까지 도내에 6374대의 전기차를 보급했고, 올해에는 6205대를 추가적으로 보급해 전국 최초 전기차 1만대 시대를 맞이할 계획이다.

이어 오는 2030년까지 도내 전체 차량인 37만7000여 대를 전기차로 대체할 예정이다.

여기에 현재 241㎿인 풍력발전을 중심으로 한 도내 신재생에너지(풍력·태양광 등) 발전 설비 용량을 오는 2030년까지 2690㎿(풍력 2350㎿) 규모로 확충해 전기차를 비롯한 전기에너지 사용량의 대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주의 전기차는 순수한 바람 에너지로만 달리는 탄소 발생 제로의 교통수단이 된다는 게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정책의 목표다.

제주의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정책은 여기에서 끝이 아니라 그린빅뱅으로 이어진다.

제주그린빅뱅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전기차 등 상호 연관된 친환경산업들의 기술융합으로 혁신적인 신(新) 에너지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제주의 미래사회 전환 전략을 말한다.

이 같은 신 에너지 산업 생태계 구축의 일환으로 제주도와 제주테크노파크는 총 사업비 189억3000만원을 들여 오는 2019년 12월까지 제주시 아라동 첨단과학단지 내 디지털융합센터 부지 3700㎡에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센터를 건립하기로 했다.

이는 전기차 보급 정책을 통해 도내 폐배터리가 오는 2020년 452팩에서 2021년 1873팩, 2025년 1만4487팩, 그리고 도내 모든 차가 전기차로 바뀌는 2030년에는 7만9685팩으로 폭증이 예상됨에 따라 연관산업 활성화 차원에서 추진되는 사업이다.

폐배터리는 등급별 성능평가를 거쳐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하거나 가정용과 장애인용 휠체어 또는 산업용 ESS(에너지 저장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 같은 폐배터리 재사용센터 구축을 통해 배터리 진단사를 비롯한 새로운 직업군이 생기는 등 200여 명의 직·간접적인 고용효과도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제주도의 원대한 포부에도 불구하고 정작 제주도청 내에서는 원희룡 제주도정이 들어선 이후 총 6회에 걸친 조직개편이 있었지만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정책을 추진할 조직으로 전략산업과가 생긴 것이 고작이다.

2016년 하반기 조직개편 시에도 가칭 ‘카본 프리 아일랜드 실행본부’ 설치를 검토했지만 끝내 무산되고 만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정책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겠다고 선언하면서 타 지방자치단체와의 열띤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한 제주도의 좀 더 강력하고 조속한 대응이 아쉽다.

또 제주가 대한민국의 1%를 넘어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에너지 자립도시를 만들어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 2100여 개 도시로 성공모델을 전파해 나가겠다는 복안을 실현할 수 있는 강력한 정책적 드라이브가 요구되고 있는 때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