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10일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에 제2공항 건설이 추진되는 것과 관련, “도민자본과 향토자본을 육성해 공항복합도시(에어시티)를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 지사는 이날 제주도청 집무실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갖고 “공항시설은 국가재정으로 건설이 이뤄지지만 에어시티는 도민자본을 육성해 조성함으로써 제주경제를 키우는 성장동력으로 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원 지사는 “공항 건설과 관련된 진행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민들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도민들의 전폭적인 지지와 협조를 통해 사업기간을 최대 2년 6개월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항공기 이착륙 지역을 비롯해 공항시설 바깥에 주택과 상업지구 배치를 통한 에어시티를 조성하면 24시간 공항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며 “투자와 도민자본의 성숙도에 따라 에어시티를 조성해 제주의 또 다른 자원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다음은 원 지사와의 일문일답.

- 제2공항 건설에 따른 중앙정부의 지원을 이끌어 낼 방안과 에어시티 추진 방안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한다는 것은 국비 투자를 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하는 것으로 사업비 4조1000억원에 대해서 이뤄지는 것이다. 공항을 민간자본을 유치해 건설하는 것은 공항 운영과 지분 등의 문제로 논란 소지가 있고 시간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공항 시설은 국비로 하되 이와 별개로 도시계획을 통해 에어시티라는 하나의 지원을 쓸 수 있다.

에어시티는 제주도와 도민의 지분을 최대한 확보해 향토자본과 도민자본을 육성, 제주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에어시티는 국가 예산으로 할 수 없는 것이고 도민자본을 육성하기 위한 큰 원칙을 갖고 구체적인 계획을 도민들과 협의해 방향을 잡아나갈 것이다. 제주도의 방침은 도민의 희생으로 만들어진 에어시티라는 자원을 도민 자본과 도민의 이익을 위해 최대한 쓸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 제2공항 건설에 따른 도민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은.

▶이미 제2공항 건설 예정지인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와 온평리 등 성산읍 전체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선정됐다. 사업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온평리 주민 등을 중심으로 성산읍 주민들이 협의체를 구성해 도정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의하면서 갈등을 최소화할 것이다. 공항 건설과 관련된 정보와 진행사항에 대해 최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민들의 의견이 공항 후속 계획에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

- 제2공항 건설 사업의 추진을 앞당길 수 있는 해법은.

▶공항 건설은 예비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설계, 시공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타의 경우 1년의 기한을 최대한 앞당겨 6개월 이내로 단축할 여지가 있다. 기본계획은 1년 소요되지만 설계 후반부와 시공 전반부를 겹쳐서 추진하면 전체적으로는 1년 6개월에서 2년 6개월을 앞당길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이를 위해 최대한 노력할 것이며, 이미 이 부분에 대해서는 국토부와 제주도의 공감대가 형성된 상황이다. 물론 전제조건은 제주도 지역의 자체 문제로 인해 지연되지는 말아야 한다. 현지 지역사정으로 사업 추진이 늦어지면 중앙정부는 공항 건설에 소요될 재정을 다른 곳에 쓸 수 있다. 또 국가재정의 기복이 있을 수 있어 도민들의 전적인 협조와 공감대가 이뤄져야 국가 재정 우선순위를 확보할 수 있다.

- 제2공항 24시간 운영 가능한가.

▶제주도 입장에서는 24시간 공항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공항 구역 자체로는 24시간 운영이 확보되지 않지만 도민들이 필요하다고 하면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소음 지역에 주택이 아닌 상업지역, 에어시티를 조성해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다. 국토부의 입장도 24시간 공항 운영을 국가 재정으로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에어시티에 따른 24시간 운영은 제주도가 추진할 수 있다. 공항 부지 바깥에 주택과 상업지구 배치를 어떻게 하는에 따라 24시간 공항 운영은 충분히 가능하다. 공항시설만 하면 관광 파급 효과만 있지만 에어시티 기능을 갖추면 그 자체로 새로운 산업을 일으킬 수 있다. 에어시티 조성은 한꺼번에 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와 도민자본의 성숙도에 따라 후대에 이어가면서 제주경제를 키우는 지속적인 성장동력으로 쓸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