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일곱 살의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그는 2010년 전기자동차 '모델S‘를 내놓으면서 기후변화 시대에 거스를 수 없는 친환경 교통수단의 추세로 전기자동차 시대의 문을 열었다. 그의 벤처 정신은 이 시대를 풍미하는 세계적 기업가들도 좀체 따라 할 수 없을 정도로 독보적이다. 그리고 매력적이다.

머스크가 최근 두 가지 큰일을 저질렀다. 첫째 중국 상하이에 연간 5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전기차 공장을 건립한다고 발표했고, 둘째 실리콘밸리에 있는 테슬라 공장에 거대한 텐트를 쳤다.

머스크는 2년 전 그의 야심작인 전기차 ‘모델3’를 선보였다. 테슬라 공장의 2개 조립라인을 완전 자동화 공정으로 설계하고, 로봇이 노동자를 대신하여 값싼 전기자동차를 찍어내게 만들었다.

모델3의 가격을 3만5000달러(약 4000만원)로 제시하자, 테슬라에 매료된 미국 소비자들이 예매하려고 구금처럼 몰려들었다. 1년 후 인도 조건이지만, 선수금 1000달러를 지불하고 40만대의 주문이 밀려들었다. 팔기도 전에 테슬라는 4억 달러를 챙긴 것이다.

그러나 머스크의 계획은 자동차 생산에 들어가자 꼬이기 시작했다. 배터리와 자동차 대량생산 체제에 문제가 생겼다. 로봇이 정교하게 작동하지 못하면서 조립에 하자가 생겼다. 2017년 여름 모델3을 조립하기 시작하여 석 달 동안 겨우 260대를 생산했다. 소비자들은 실망하기 시작했다. 머스크는 연말이면 월 2만대 생산이 가능하다고 변명했다. 그러나 작년 마지막 석 달 동안 생산한 자동차는 겨우 2425대에 불과했다. 올해 연산 50만 대 목표는 허황돼 보였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테슬라가 개발 중인 자율주행차가 사고를 냈다. 투자자들은 실망했고 한때 GM을 능가했던 기업가치는 곤두박질쳤다. 테슬라는 계속되는 적자 경영의 짐을 견딜 수 없어 망할 것이라는 예측이 월가에 흘러나오기까지 했다.

머스크는 로봇을 치우고 조립 노동자 수백 명을 대신 투입해서 수작업으로 모델3를 만들기 시작했다. 여기서 무슨 영감을 얻은 것인가.

머스크는 지난 6월 테슬라 공장 부지에 거대한 텐트를 쳤다. 알루미늄 골조를 세우고 캔버스 천을 덮어 만든 텐트는 길이 300m, 폭 50m, 천장높이 18m의 초대형 천막으로 축구장 2.5배 크기다. 머스크는 그 안에 ‘모델3’ 조립 라인을 설치했다.

외부 비판가들은 이 천막공장이 낭비라는 평가를 쏟아냈다. 그러나 머스크는 폐품 수준의 재료를 이용하여 텐트 건물을 만들었다며 오히려 반박했다. “종래 생각으로 일이 불가능할 때, 달리 생각할 필요가 있다." 머스크의 주장이다. 다행히 천막 공장을 완성한 지난 6월 마지막 7일 동안 모델3 생산량은 5000대에 이르러 체면을 찾았다.

전통적인 자동차 메이커는 조립 노동자가 공정을 장악하고 작업의 일부를 로봇이 담당하게 한다. 그러나 테슬라는 반대로 했다. 수천 개의 로봇과 다른 자동화 기계가 조립 라인의 주력부대로 참여하도록 설계했다. 이 공정이 작동에 문제가 생겼던 것이다.

머스크는 우여곡절의 ‘모델3’ 생산 공정에서 로봇보다 사람의 손이 더 뛰어나고 효율적인 면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새로 만든 텐트 공장의 공정은 이런 점을 보완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주역은 로봇이 맡고 노동자는 섬세함을 요구하는 틈새 역할을 맡는 머스크의 비전은 변함없다.

이 텐트 공장이 ‘모델3’을 50만대 대량생산 체제로 이끌 것인가. 머스크의 운명이 이 천막 공장에 달린 듯싶다.

머스크가 저지른 또 하나의 큰일은 이달 초 상하이에 50만대 생산 규모의 전기차 공장과 연구개발센터를 건립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테슬라 해외 최초의 공장이다. 조건도 파격적이다. 100% 테슬라가 지분을 갖는다.

지금 미국과 중국은 무역 전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트럼프 미국대통령은 해외로 생산 공장을 옮기려는 미국 기업을 국내에 주저앉히려고 안간힘을 쏟고 있고, 중국 정부는 미국을 경제적으로 괴롭힐 카드를 찾느라 분주하다.

이런 판국에 머스크가 테슬라 공장을 중국에 짓겠다고 나섰으니 미묘한 상황이다. 트럼프는 테슬라의 중국 공장 건설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을 것이다. 머스크도 이 점이 마음에 걸렸는지 실리콘밸리 공장의 50만대 생산 규모는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자금 압박에 시달리는 테슬라가 약 50억 달러가 소요되는 중국 공장을 짓는 것은 나름의 비전과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세계 제일의 자동차 시장이다. 중국정부는 대기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차 보급을 국가정책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전기차 생산과 판매는 급성장하고 있다. 이러니 머스크로선 중국의 전기차 시장 잠재력을 무시한 테슬라의 존재를 생각할 수 없었을 것이다.

테슬라는 중국에서 두 번째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다. 보복관세 전쟁이 벌어지는 미중 무역전쟁 와중에 테슬라는 중국에 전기차를 수출하기가 어려워질 판이다. 이 난관을 극복하는 방안이 바로 중국에 공장을 지어 관세장벽을 피하는 것이다.

중국은 테슬라의 상하이공장 건설을 허가해주고 무엇을 노리는 것일까.

중국은 지금 미국의 기술력을 따라잡기 위해 10대 첨단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둔 ‘중국제조 2025’(Made in China 2025)에 국력을 쏟고 있다. 또 미세먼지와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를 인민의 삶의 질과 연결하여 그 해결책 찾기에 부심하고 있다. 이 두 가지 국가목표에 결부되는 것이 바로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차의 기술개발과 생산·보급이다. 중국정부의 노력 결과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기술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이 이뤄진 것도 사실이다.

허지만 중국정부는 내친김에 이 분야에서 세계적 위상을 잡고 싶어 한다. 테슬라는 상하이 공장과 함께 연구개발센터도 함께 짓기로 함으로써 중국의 입맛에 맞게 된 것이다. 아울러 테슬라 전기차의 명성을 이용하여 중국의 전기차 보급 확대를 꾀할 수 있다. 미국은 밉지만 미국의 기술은 탐스럽다는 얘기다. 여기엔 시장을 등에 업은 중국의 자신감이 작용하는 게 아닌가 싶다.

미국과 중국, 그리고 일론 머스크가 벌이는 게임이 한국에 시사점을 준다. 그냥 구경거리로만 바라볼 수 없는 것이 바로 글로벌 기업과 국력은 한데 엉켜 돌아가기 때문이다. 중국이나 미국과는 비교가 안 되지만, 한국의 경제력은 세계 10위권이고 세계적 글로벌 기업도 여럿 있다. 그러나 한국의 글로벌 기업은 벤처정신이 없는 재벌2, 3세들이 지배하고 있다. 재벌기업을 뚫고 솟아나는 벤처기업의 싹도 보이지 않는다. 아쉬운 기업계 풍경이다. <뉴스1 고문>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