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12일 전남 목포항을 출발해 제주로 향하던 여객선에 탄 A씨가 사라졌다.

제주항에 도착한 뒤 선내를 살피던 선장과 승무원이 A씨 객실에 가방과 모자, 신발, 의류 등은 있는데 정작 승객은 보이지 않아 해경에 신고했다.

해경은 A씨가 바다에 빠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아직도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다.

10일 제주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제주 해상에서 바다에 빠졌거나 또는 빠졌을 것으로 추정돼 실종된 인원은 2013~2018년 8월까지 40명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3년 6건, 2014년 2건, 2015년 7건, 2016년 12건, 2017년 10건, 올해 3건이다.

지난달 30일 오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도 방파제에서 보말을 따러 나간 뒤 사라진 김모씨(64)는 실종 11일째다.

해경은 지금까지 함정 등 22척, 항공기 6대, 수중 46명, 해안가 183명 등을 동원해 수색하고 있지만 김씨를 찾지 못했다.

이처럼 아무리 많은 인력과 장비를 동원한다해도 망망대해에서 실종자를 찾기란 모래에서 바늘 찾기에 비유할 정도로 쉬운일은 아니다.

해안가로 떠밀려온다면 모를까 조수와 해풍, 복잡한 해류 등의 영향으로 시신이 어디로 향할지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최근 전국적인 이목을 끈 30대 여성 관광객 실종사건은 해양 실종자 수색의 어려움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7월25일 제주시 구좌읍 세화포구에서 캠핑도중 사라진 30대 주부가 실종 일주일만에 제주 섬 반바퀴를 돌아 103km 떨어진 가파도 해상에서 발견돼 세간을 놀라게 했다.

일반적인 해류 특성상 세화포구에서 가파도까지 시신이 이동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경찰은 지역어민들의 의견과 여러 전문가들에게 시뮬레이션을 의뢰한 결과를 종합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실종자 이동 경로 알려주는 표류예측시스템 한계

2013년 제주해경이 도입한 표류예측시스템은 실종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볼 수 있는 첨단시스템이지만 아직까지는 한계도 뚜렷하다.

이 시스템은 우리나라 해상을 특정 간격으로 도식화해 예상되는 바람과 해류, 조류 등을 입력하면 익수자의 이동경로와 확산범위를 예측해준다.

그러나 작은 섬을 바다로 인식하거나 연안 5마일(8km) 이내 해역은 정밀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2015년 돌고래호 전복 사고 당시 표류예측시스템의 예측 위치와 실제 실종자가 발견된 위치가 최대 69.5km까지 차이난 적이 있다.

30대 주부 실종사건에도 이 시스템을 이용했지만 결국 시신 이동 경로 예측에 실패했다.

해경은 "사고해역의 경·위도와 사고 시간의 정확성 등에 따라 예측 정확도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표류예측시스템을 전적으로 신뢰하기보다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수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표류예측시스템을 개발·관리하는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관계자는 "시스템을 초기 9km 해상도에서 3km 해상도로 개선한 상태고 2020년까지 300m 이하의 고해상도 모델을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