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첨단 무선통신기술로 주목받았던 '비콘'이 제주에서 도입 3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제주도는 비콘관리시스템을 이용자수 감소로 활용률이 저조해 폐지한다는 내용의 행정예고를 했다고 8일 밝혔다.

비콘(위치 정보 등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기기)이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이다.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의 활용 범위는 안전, 관광, 쇼핑, 건강 등 무궁무진해 제주는 물론 전국 각지에서 관심이 높았다.

특히 국제관광도시 제주에서 비콘의 활용도는 더욱 기대를 모았다.

제주도는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비콘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관광정보를 제공한다는 스마트관광을 구상, 2015년부터 도입하기 시작했다.

2016년에는 제주도와 KT가 업무협약을 체결, 2018년까지 8000개의 비콘을 전통시장과 공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설치한다는 계획도 내놨으나 실제로는 1152개만 설치됐다.

비콘 설치에는 국비 9억원과 지방비 6억원 등 총 15억원이 들어갔다.

당장이라도 황금알을 낳아줄 것 같았던 비콘은 거품이 빠지는 속도도 빨랐다.

한해 10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제주에서 지난해 비콘 사용자수는 363명이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남겼다. 2018년 12월에는 사용자수가 9명에 불과했다.

결국 제주도는 도입 3년만에 비콘 시스템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비콘이 설치된 구역에 들어가면 자신의 위치가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안심제주 앱'도 올해부터 비콘 대신 GPS 기술을 이용한다.

이처럼 비콘이 빠르게 사양길로 접어든 가장 큰 이유는 무선통신기술 시장이 급변했기 때문이다. 또 배터리 수명이 빠르고 잔고장도 많아 유지보수 비용이 적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GPS 기술이 발전해 오차범위가 크게 줄어들어 굳이 유지보수비용이 많이드는 비콘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전했다.

결과적으로 제주도가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한 행정을 펼쳤다는 비판도 나온다.

제주도 관계자는 "비콘은 저렴한 위치 센서로 사물인터넷(IoT)확산에 기여했으나 대체품들의 등장으로 필요성이 급감했다"며 "용도도 제한적이어서 관광 영역의 광범위한 서비스를 적용하기에는 제약이 커 유지보수 비용에 낭비되는 세금을 줄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도 관계자는 "비콘 시스템을 폐지한다고 해서 스마트관광 계획이 폐지되는 것은 아니"라며 "현재 설치돼있는 비콘은 개방형으로 전환해 수명이 다 될때까지 필요한 기업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