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밖에서 바라본 제주4·3의 최우선 과제는 '전국화'와 '정명(바른 이름) 찾기'였다.

제주4·3범국민위원회(이하 범국민위)는 4·3 70주년을 맞아 제주도의 지원으로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전국 초·중등학교 100여곳과 시민단체 40여곳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4·3 평화와 인권 교육'을 실시했다고 13일 밝혔다.

교육은 총 139회에 결쳐 8000여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이 중 2096명의 수강생이 4·3에 대한 설문조사에 응했다.

'4·3 인지 정도'를 묻는 질문에 23.5%는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답했으며, 18.8%는 '4·3이라는 사건이 있었다' 정도로만 답해 전체 응답자의 절반 가량이 4·3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4·3의 성격'을 묻는 질문에는 48%가 '국가폭력에 의한 민간의 학살', 17.9%가 '미군정과 경찰의 탄압에 대한 저항'이라고 답했으나 7.5%는 '북한과 연계된 공산주의자들의 반란', 4.1%는 '남로당 지시에 따른 폭동'이라고 답해 여전히 왜곡된 인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4·3 평화·인권 강의가 도움이 됐는지' 묻는 질문에는 '매우 그렇다'가 45.3%, '그렇다'가 38.5%라고 답해 전체 응답자의 83.8%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4·3의 배경으로서 제주의 역사와 특성을 알 수 있었다'는 응답이 35.3%로 가장 많았으며, '4·3 당시 학살 양상과 규모를 알게 됐다'가 30.2%, '해방에서 분단으로 이어지는 정국 흐름과 4·3의 관계를 알게 됐다'가 17.7%였다.

'4·3 70주년의 과제'에 대해서는 '국민들과 공유하는 전국화'라는 응답이 36.4%로 가장 높았다. 특히 이 과제는 20대 이하 청소년층과 30대가 많이 꼽았다.

또 '4·3의 역사적 평가와 정명(바른 이름) 찾기'(25.2%), '배·보상 등 정의로운 청산을 위한 특별법 개정'(19.2%), '4·3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묻는 일'(15.7%)이 과제로 꼽혔다.

범국민위 관계자는 "그동안 4·3에 대한 교육이 제주 안에서 이뤄졌으나 지난 1년 간의 강의 후 설문지 분석 결과를 보면서 제주 밖에서의 4·3 강의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4·3의 진실을 밝히고 역사의 재발 방지를 위해 전국화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