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에코 플랫폼(Global Eco-Platform)’을 구축하고, ‘新(신)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 국내 최고의 메트로폴리스(인구 100만명 이상 도시)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로만 전력을 생산하고, 전기차와 스마트 그리드(지능형 전력망), 에너지 저장장치(ESS), 여기에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융합해 새로운 미래 에너지 산업의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제주도가 추진 중인 글로벌 에코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의 추진 현황과 과제를 조명한다.

◇‘탄소 없는 섬’과 ‘글로벌 에코 플랫폼’ 구축

제주도는 오는 2030년까지 도 전역을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든다는 내용의 ‘카본 프리 아일랜드(Carbon Free Island) 2030 프로젝트’를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1단계로 2014년까지 제주시 구좌읍 일대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완성한데 이어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도를 풍력발전으로 에너지 수요를 충당하고, 전기차가 다니는 ‘탄소 없는 섬’으로 조성했다.

이어 오는 2030년까지는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 등을 통해 2350㎿의 전력 생산 인프라를 구축해 도내 전기에너지 사용량의 전량을 충당할 방침이다.

자동차는 2030년까지 도내 37만7000대 모두를 전기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스마트 그리드는 이미 정부가 2013년까지 총 사업비 2495억원을 투자, 5개 분야 12개 컨소시엄을 통해 제주시 구좌읍에 스마트 그리드 실증단지를 조성한 뒤 6250세대(1만5000명)를 대상으로 통합 운영까지 마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2017년까지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상용화하는 스마트 그리드 확산사업을 추진한 데 이어 2020년까지 글로벌 스마트 그리드 통합인증센터 설립, 전문 인력양성센터 설립을 통한 관련 산업 활성화 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이처럼 도 전역을 탄소 없는 섬으로 조성한 뒤 제주에 ‘글로벌 에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스마트 그리드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시켜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차, 그리고 지능형 전력저장 및 보급 기술 등이 어우러진 세계 최초이자 글로벌 표준 기술 및 관련 산업을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라는 게 제주도의 설명이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이와 관련 “‘글로벌 에코 플랫폼’은 도내 신재생 발전 인프라 구축 및 전기차 확산 사업 등을 정보통신기술 기반으로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라며 “이를 통해 제주는 에너지 신산업, 미래 융복합산업의 실리콘비치(Silicon Beach)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주의 꿈’ 글로벌 에코 플랫폼, 국책사업으로 추진

박근혜 대통령은 2015년 11월30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 기후변화 정상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제주도의 탄소 없는 섬 프로젝트 등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국내·외에서 100조원 규모의 시장을 개척하고, 5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겠다”고 세계 정상들에게 약속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기조의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한 실정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국가 에너지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됐다.

그런데 2015년 발표된 정부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제주도가 추진 중인 신재생에너지 개발 계획과 전기차 보급 계획 등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올해부터 ‘카본 프리 아일랜드 2030 프로젝트’를 국책사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3월부터 오는 10월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2350㎿)과 전기차 37만7000대의 보급에 따른 전력 수요 등을 분석하는 ‘제주지역 전력수요 예측 연구용역’을 한국전기연구원에 의뢰해 시행하고 있다.

제주도는 이번 용역 결과를 2017년 발표될 정부의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 카본 프리 아일랜드 2030 프로젝트가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될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도는 한국전력공사, LG와 함께 5월 말부터 오는 9월까지 총 사업비 50억원을 투입해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를 국내 최초로 ‘탄소 배출 제로’의 에코타운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행원리 소재 270여 가구는 660kW급 풍력발전기와 500kW급 태양광발전기에서 생산하는 에너지를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한 뒤 가칭 ‘에너지 통합관리 운영센터(EMS)’를 통해 수요가 생길 때마다 적정량의 전력이 공급된다.

행원리 내에 있는 차량들은 모두 전기차로 전환이 추진되며 마을 곳곳에다 전기차 충전시설 및 주차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

행원리는 이미 2009년부터 4년간 정부 주도로 시행된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실증단지 사업을 통해 주민 인지도와 참여도가 높아 제주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2030 탄소 없는 섬 프로젝트’ 실현을 위한 최소 단위의 모델이 될 전망이다.

현재 행원리에 설치돼 있는 에코타운 적용 시설은 Δ660kW급 풍력발전기 Δ500kW 태양광발전기 등이 있다.

산자부와 제주도는 한전, LG와 함께 오는 9월까지 행원리를 대상으로 Δ전기차 전환 및 충전시설 확충 Δ전기차 부가서비스 시범 적용 Δ에너지 통합관리 운영센터(EMS) 운영 Δ가정용 태양광 설치 Δ스마트 가로등 설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이번 행원리 에코타운 조성사업을 통해 그 문제점과 대안을 찾는 한편 내년에는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를 제2호 에코타운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이어 오는 2030년까지 도 전역을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든다는 내용의 ‘카본 프리 아일랜드(Carbon Free Island) 2030 프로젝트’에 적용,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에코타운 조성에 이어 정부와 함께 스마트 그리드 상호운용성 시험센터를 확대한 통합인증센터를 설립한 뒤 다양한 시스템별·국가별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기 시험 평가로 수출화를 촉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결 과제는

제주도가 카본 프리 아일랜드 2030 프로젝트 실현과 함께 글로벌 에코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도내 에너지 분야 전문가는 이와 관련, “제주가 마련한 카본 프리 아일랜드 프로젝트는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차 보급 물량 등을 나열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업별로 구체적인 사업계획 및 로드맵을 마련해야만 각 분야별 연계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카본 프리 아일랜드 프로젝트의 경우 전력수급의 문제이고, 현재 전력수급은 지자체 차원에서 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반드시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돼야만 실현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며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이후에도 제주도가 정부와 협의를 통해 좀더 구체적인 추진 로드맵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에너지 분야 전문가는 “제주도가 카본 프리 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한전과 LG 등 전력관련 공기업 및 국내 대기업들과의 연계를 통해 제주를 스마트 그리드의 테스트베드화 등 글로벌 에코 플랫폼을 구축하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기존 전력 관련 공기업과 일반 사업자 사이에 선점을 위한 경쟁이나 마찰이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점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전력생산과 판매의 독점체계가 글로벌 에코 플랫폼으로 깨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제주도가 단순한 테스트베드를 넘어서 전력 분야 지방공기업의 발전과 관련 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춘 계획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카본 프리 아일랜드 프로젝트와 글로벌 에코 플랫폼 구축을 위해 현재 한전 및 국내 대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며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