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시의 유일한 종합병원인 서귀포의료원을 제주대학교병원에서 위탁 운영해주길 원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서귀포의료원 제주대학교병원 위탁운영 추진협의회는 12일 오전 서귀포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안전한 의료환경 조성을 위한 시민 서명운동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양광순 추진협의회장은 이날 “2009년부터 서귀포의료원을 제주대병원에 위탁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지만 차일피일 미뤄졌다”며 “시민들 대학병원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원하고 있지만 정주여건 만족도 조사에서 서귀포시의 의료여건은 항상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추진협의회는 향후 20일간 범시민 서명운동을 펼칠 예정이다.

추진협의는 지난 7일 출범했으며 귀포시관광협의회, 서귀포시주민자치위원회협의회, 서귀포시여성단체협의회, 서귀포시이장연합회, 서귀포시통장연합회, 서귀포시상공회, 서귀포시연합청년회가 참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날 제주 서귀포보건소가 발표한 ‘서귀포지역 의료인프라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응답자의 81.2%가 서귀포의료원의 제주대병원 위탁운영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귀포보건소는 조사전문기관인 미래리서치에 의뢰, 지난달 20일부터 지난 4일까지 서귀포시내 12개동과 남원읍, 안덕면 지역의 500명을 대상으로 1대1면접 조사를 실시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4%포인트다.

찬성하는 이유로는 ‘높은 진료 수준 기대’가 71.7%로 가장 많았다. 반면 반대하는 이유로는 ‘서귀포의료원 자체 역량 키워야’ 61.7%. ‘의료비 상승 우려’ 23.4% 등이다.

이런 상황에서 제주도가 올해 초 제주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에 정책연구과제로 의뢰한 ‘서귀포의료원 위탁 타당성 연구’ 결과가 이달 안에 마무리된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서귀포의료원 적정 운영인력, 적정 운영원가, 직영과 (제주대병원)위탁체제 장단점 비교, 운영주체별 공공성·목적달성·전문성·인력충원 등 운영 효율성, 지역경제·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이다.

제주도 공공의료지원단은 사실상 서귀포의료원을 제주대병원에 위탁하는 것을 전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는 정책연구과제 결과가 나오면 제주대병원 위탁 등을 포함한 서귀포의료원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제주대병원이 서귀포의료원의 운영을 맡는 것은 어렵다는 전망이 비등하다. 제주대병원측 역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해 9월 제주대병원측에 서귀포의료원 위탁운영에 대한 의견을 물었지만 제주대병원측은 올해 1월 회신을 통해 우수인력 학보가 어렵고 적용법령·정관·규정 등 운영방식이 달라 (서귀포의료원) 위탁운영이 곤란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제주대병원이 서귀포의료원의 운영을 맡는다 해도 추가 인력 확보 없이는 위탁운영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 상황에서는 제주대병원 의료 인력을 줄여 서귀포의료원으로 배치해야 하는데 이는 제주대병원과 서귀포의료원 두 의료기관 모두의 의료서비스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인보 제주도 공공보건팀장은 “공공의료지원단에 정책연구과제로 의뢰한 ‘서귀포의료원 위탁운영 타당성’ 결과보고서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위탁운영 여부를) 밝히기는 어렵다”며 “지난해 제주도의회에서 위탁운영에 대한 요구가 있어고 서귀포시민들도 원하고 있어 정책연구과제로 의뢰했고, 결과에 따라 제주대병원측과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서귀포의료원은 1964년 1월 제주도립 제주병원 서귀분원으로 개원했으며, 1983년 지방공사 의료원으로 전환돼 1994년 3월19일 종합병원으로 승격했다.

매년 인건비와 운영비 등으로 60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2017년 3억4900만원 2018년 6억3300만원의 적자를 내고 있다.

특히 지방의료원의 공공성을 떠나 CT와 MRI 등 1515점의 의료장비를 갖추고도 정작 의료진이 없어 초음파나 위내시경 검사를 할 수 없거나 응급실 공백사태까지 빚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시민들로부터 신뢰를 잃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