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등 제주에서 추진중인 대형 국책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된다면 2033년 제주경제 규모(지역내총생산, GRDP)가 5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고봉현 제주연구원 상생경제연구부장은 3일 한국은행 제주본부와 제주연구원 공동주최로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에서 '불확실성 시대와 제주경제'를 주제로 열린 2019 하반기 지역경제 세미나 '불확실성 시대 제주경제 전망과 시사점'이라는 발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제주경제 규모는 2011년 이후 고도성장을 지속해왔다. 제주지역 GRDP 성장률은 2014년 6.9%, 2015년 7.4%, 2016년 8.0%다.

그런데 2017년에는 4.7%로 하락했다.

이처럼 제주경제가 하강국면에 들어선 이유는 인구 순유입 규모 축소, 관광객 감소, 건설경기 부진, 서비스업 성장세 둔화 등을 주요 원인으로 고 부장은 분석했다.

고 부장은 2개 시나리오별 제주 GRDP 중장기(2018~2033년) 전망을 제시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2033년 제주관광객 1600만명, 인구 77만6000명, 제주 제2공항 등 대규모 국책사업 제동, 재정지출(제주도 예산) 7조원을 전제로 했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제주관광객 2000만명, 인구 80만명, 제주 제2공항 등 대규모 국책사업 차질없는 추진, 재정지출 10조원을 전제로 추산했다.

국내경제성장률은 연평균 2.25%로 가정했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 따른 제주경제 규모는 2033년 제주 GRDP가 37조3000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2028~2033년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1.7%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측했다.

반면 두 번째 시나리오를 통한 전망은 2033년 제주 GRDP가 50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경제성장률도 2018~2022년 연평균 4.0%, 2023~2027년 연평균 5.2%, 2028~2033년 연평균 3.7%로 분석했다.

고 부장은 "두 번째 시나리오를 통한 전망은 최소한의 결과치로 그 이상이 될 가능성도 있다"며 "전제가 달성될 경우 제주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지속된 고도성장기를 다시 경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양적 성장에만 치중할 경우 과거 고도성장기에 겪었던 사회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계했다.

고 부장은 현재 제주경제 위기와 불확실한 미래 경제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제주경제 조기경보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는 경제위기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포착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위기관리 체계로, 우리나라에서는 참여정부 시절 처음으로 구축됐다.

고 부장은 "중장기적으로 성장률이 하락하고 있는 제주경제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며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충청남도가 2017년 조례를 제정하고 이후 관련 연구를 거쳐 경제위기 대응시스템을 구축,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