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눈으로 구별하기조차 힘든 미세플라스틱이 생태계 곳곳은 물론이고 인간이 먹는 음식과 물에도 침투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플라스틱은 그 개념조차 아직은 모호할 정도로 연구가 부족해 각별한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뉴스1제주본부는 다양한 국내외 연구 사례를 통해 5차례에 걸쳐 미세플라스틱이란 무엇인지, 미세플라스틱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세계 각국에선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그리고 현장의 목소리 등을 소개한다.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모든 제품과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2019년 발간한 '미세플라스틱의 건강 피해 저감 연구' 등에 따르면 플라스틱을 발생원 기준으로 나눌 때 1차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은 화장품 등과 같은 개인 관리 제품, 세척제 등 세제류,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 중 마모되거나 자연 중 방치돼 미세화된 2차 미세플라스틱은 타이어 마모 분진, 세탁 과정에서의 미세섬유, 생산·운송 시 펠릿 유출 등이 주요 발생원이다.

연구진은 우리나라의 미세플라스틱 발생 잠재량이 연간 3000~21만6000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개인 관리 제품과 가정 내 세탁에서의 발생 잠재량은 각각 연간 약 40~370톤, 1010~1만1480톤으로 추정했다. 전체 발생량의 약 0.1~5% 수준이다.

◇미세플라스틱보다 더 작아진 나노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은 어떤 경로로 우리 일상에 침입할까?

지금까지 미세플라스틱 연구는 해양 환경이 중심이었고 육상은 미세플라스틱 오염 현황 조사가 아직까지는 비교적 미흡해 '정량적'으로 모형화하기 어렵고 '정성적'으로 살펴볼 수밖에 없다.

토양의 미세플라스틱 주요 유입원은 하수 슬러지와 유기질 비료, 농업 용지 피복 필름, 대기 입자, 쓰레기 매립지 유출수 등이 있다.

땅속 미세플라스틱을 먹은 지렁이의 체내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크기까지 작아진 나노플라스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은 올해 국내 연구진을 통해서 밝혀졌다.
 

건국대 환경보건과학과 안윤주 교수 연구팀이 지난달 공개한 연구결과를 보면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토양샘플에서 3주간 배양한 지렁이의 분변토에서 얻은 입자성 물질들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니 미세플라스틱보다 작은 입자성 물질(나노플라스틱)이 존재하는 것을 알아냈다.

먹이사슬에 따라 토양 생태계의 1차 소비자인 지렁이를 포식하는 닭의 배설물과 육상 조류 내장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전문가들은 사람 역시 식음료나 먼지 흡입 등으로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대기를 통한 미세플라스틱 흡입의 경우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에서 확인된 적은 있지만 일반인에게서는 아직 없다.

다만 밀폐된 실내에서 일하는 공장 근로자나 영유아들이 바닥 먼지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있다.
 

사람이 식품 등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2018년 핀란드, 네덜란드, 러시아, 일본 등 다양한 국적의 8명을 대상으로 대변을 조사한 결과 대변 10g당 약 2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확인됐다고 한다. 주요 크기는 50~500㎛였다.

미세플라스틱 검출이 확인된 식품은 통조림을 포함한 어패류와 새우, 소금, 맥주, 꿀, 설탕, 생수, 수돗물 등이다.

국내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시장에 유통되는 패류 4종(바지락, 굴, 홍합, 가리비)을 조사한 결과 바지락의 검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 역시 생활하수와 산업폐수, 호우 등으로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될 수 있다.

하천은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약 70~80%를 이동시킨다는 연구가 있으며 전 세계 하천과 호수에서 다양한 형태와 소재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수돗물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국내에서 환경부가 2017년 직접 조사한 적이 있다.

환경부가 조사한 24개 정수장 중 21개 정수장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지 않았고 3개 정수장은 1ℓ당 각각 0.2개, 0.4개, 0.6개가 검출됐다.전체 평균은 1ℓ당 0.05개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우리나라 수돗물 검출 결과는 외국 검출(ℓ당 평균 4.3개) 사례보다 낮으며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 이 기획기사는 제주연구원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등에서 제공한 자료들을 토대로 작성됐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