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6일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 11월까지 국민 70% 이상이 접종 후 체내 중화항체를 갖는 '집단면역'을 형성겠다는 목표이지만 다소 낙관적이지 않은 시각들이 나와 경각심을 일으킨다.

22일 영국의 경제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대만, 호주 등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선진국들은 2022년 중반까지 집단면역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일부 고소득 선진국가들의 백신 선주문으로 인한 백신 공급 문제가 지목됐다. 다만 EIU는 "인구와 의료 자원, 정치적 의지 등에 따라 접종완료가 더 빨라질 수 있다"고 봤다.

우리나라 상황에 대해 일목요연한 설명은 없지만, 일단 집단면역이 늦춰질 수 있다는 지적이 경종을 울린다.

정부가 꼽은 변수는 Δ백신 수급 Δ국민 접종 참여율 Δ변이 바이러스 등 3가지다. 정부가 세운 백신 수급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그리고 국민들의 접종 참여율이 저조할수록 우리나라 집단면역 형성 시기는 늦어질 수밖에 없다. 또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 정도도 중요한 문제다.

일단 정부는 당초 백신 수급 불확실성을 상당 부분 차단하고자 SK바이오사이언스로부터 국내 생산 체계를 구축해 어느 정도 대비를 해왔다.

정부가 확보한 백신 7900만명분 중 3000만명분이 SK바이오사이언스의 안동 백신공장에서 생산된다. 전국민 대비 57.9% 규모로 적지 않은 물량이다. 이 중 1000만명분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고, 2000만명분은 노바백스 백신이다.

특히 노바백스 백신의 경우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기술수입을 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제조 및 생산, 유통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이 가운데 정부가 SK바이오사이언스로부터 2000만명분을 구매하는 계약을 한 것이다.

아스트라제네 백신 1000만명분은 원래 SK바이오사이언스가 생산하더라도 해외 본사로 운송된 뒤 다시 전세계로 공급되는 계약이 돼 있다. 하지만 정부가 국내로 바로 유통될 수 있도록 아스트라제네카와 협의해왔다.

물론 그 외 화이자 백신과 얀센, 모더나 백신 등은 아직 국내 생산 계획이 없어서 해외 공급 상황에 따라 국내 수급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2일 오후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전세계적으로 백신이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우리도 공급일정을 관리하는 게 쉽지 않다"면서도 "최대한 백신 공급 시기를 앞당기고 계약한 일정대로 백신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백신 수급관리를 철저히 하면 (제때 접종완료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아울러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 동참률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정부가 26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는 요양병원‧시설 등의 만65세 미만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등과 27일부터 화이자 백신을 투여하는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 등 접종 1순위군의 접종 동의율은 93.8%로 조사됐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화이자 백신의 각 예방효과율 62%와 95%를 적용하면 기대할 수 있는 접종 1순위군 예방효과율은 63.1%다. 다만 같은 접종 1순위 대상인 고위험 의료기관(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와 폐쇄병동 운영 정신의료기관 환자 및 종사자)과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119 구급대, 역학조사 요원 등)의 동의율 조사는 아직 진행 중이다.

일단 집단면역이 가능한 수준이지만 접종 동의율이 낮을수록 이 수치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정은경 청장은 "예방접종률 관리는 정부의 힘만으로는 어렵다"며 "정부와 의료계, 전문가 그리고 국민들이 함께 코로나19 극복이란 목표로 접종률을 높일 수 있도록 신뢰와 소통을 기반으로 충실히 관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은경 청장은 변이 바이러스 위험요소와 관련해선 "남아프리카공화국발 변이 바이러스처럼 백신이나 치료제를 회피하는 변이에 대해 큰 경각심을 갖고 있다"며 "해외입국자 관리강화를 위해 정부와 국민이 함께 힘을 모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