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공공하수처리장에서 제대로 정화되지 않은 오수를 그대로 바다로 흘려보내는 사고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

29일 홍명환 제주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이도2동 갑)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제주시 도두동에 있는 제주하수처리장은 2017년 4월 이후 방류수의 수질 문제로 여섯 차례 개선명령을 받았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1월과 6월 하수처리장에서 정화되지 않은 오수가 방류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월에는 방류수의 부유물질(SS)이 기준치(ℓ당 10㎎)를 넘어 10.5~16.7㎎로 조사됐다.

지난 6월 방류수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이 기준치(ℓ당 40㎎)를 웃도는 40.3~61.4㎎로 나타났다. 또 총인(T-P)도 2.227~4.559㎎로 기준치(2㎎)를 넘었다.

제주도는 시설용량보다 넘치는 오수가 유입되면서 체류시간이 부족해 수질 기준을 지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올 상반기 제주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 오수량은 하루 평균 13만4017톤으로 시설용량 13만톤을 넘어섰다.

가장 많은 하수량이 들어온 날은 21만톤 이상이 유입되기도 했다.

문제는 제주하수처리장의 용량 초과와 오염수 방류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지난 2017~2019년에도 길면 한 달 이상 정화되지 않은 오염수가 그대로 제주 앞바다로 흘러가는 일이 발생했으며 이에 따른 개선명령도 지속됐다.

인구 급증 및 관광객 증가로 인한 제주시내 하수 발생량 급증과 제주하수처리장의 시설 노후화가 맞물려 사고는 반복됐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2018년 제주하수처리장의 오염수 방류 문제로 도민사회에서 논란이 일자 '하수처리 종합비상대응 체계'를 선언하기도 했지만 올해 문제가 또 다시 재발한 것이다.

제주하수처리장의 시설용량을 늘리고 현대화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완공까지는 4년이 남은 상황이어서 하수대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제주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은 최근 기획재정부로부터 사업비 3927억원을 승인받았으며 내년 착공해 오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이와 관련 홍명환 의원은 “제주하수처리장에 대한 제대로 된 진단과 대책이 필요하다”며 “그동안의 관리와 가장 효율적인 개선 대책이 무엇인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