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산업 육성전략 용역보고서 놓고 전문가들 비판 봇물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해 제주 미래유망산업을 키우기 위한 전략이 나왔지만 주먹구구식으로 수립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주도는 제주연구원에 의뢰해 수립한 ‘4차산업혁명시대 제주미래유망산업 육성전략 수립용역’에 대한 최종보고회를 12일 도청 대강당에서 진행했다.

도가 제주연구원에 의뢰해 수립한 용역보고서에서는 제주의 주력·전략사업으로 농축수산, 식품가공, 관광, 뷰티향장, 에너지산업을 꼽으며 여기에 인공지능‧빅데이터‧IoT‧3D프린팅‧AR‧VR 등 기술을 융합시켜 지능정보화시킬 것을 제안했다.

이를 통한 ‘제주 10대 미래 유망산업’으로는 Δ스마트 농축수산업 Δ스마트 식품가공산업 Δ스마트 뷰티·향장산업 Δ전기자동차 연관산업 Δ에너지 신산업 Δ스마트 관광산업 Δ스마트 웰니스케어산업 Δ3D프린팅 연관산업 ΔZero-Waste 청정산업 Δ스마트 시티 등을 제시했다.

육성전략의 비전으로 ‘새로운 가능성, 융합산업의 선도자 제주’를 내걸고, 혁신창업 생태계 환경조성과 제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2031년까지 1만4000여명의 고용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유망산업에 대한 세부 추진과제를 들은 관련 분야 전문가들은 제각기 비판을 쏟아냈다.

곽진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미래투자처장은 "전체적인 계획이 많은 것들을 망라하고 있지만 제주형이라는 단어만 넣었을 뿐 특화전략이 없다"며 "제주가 갖고 있는 강점을 디벨롭하는게 전략적으로 좋지 않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도현 제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제주는 농수축산 분야 비중이 가장 큰데 이에 대한 고민이 부족해보인다. 양식장, 감귤, 양돈분야에 대한 맞춤형 스마트 전략을 보완해서 정리해달라"며 정부의 대응체계와는 차별화된 전략을 요구했다.

김영철 제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은 "4차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면서 혁신클러스터 조성과 관련된 내용은 아예 빠져 있다"면서 "전체 사업 예산을 너무 보수적으로 잡은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이나 ‘제주미래비전’과 그다지 차별화된 내용이 없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윤형준 제주스타트업협회장은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수정본에다 스마트라는 단어만 끼워맞춘 것 같다"면서 "4차산업혁명은 1·2·3차산업에 무언가 더해지는 게 아니라 다른 차원의 성질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거세게 비판했다.

윤 회장은 "처음 얘기할 땐 관이 주도하지 않고 생태계만 조성하겠다고 했지만 세부내용을 들여다보면 전혀 딴 판이다. 여전히 산업화시대 패러다임에 사로잡혀 있다"며 "정보화 흐름상 관은 민을 따라갈 수 없기 때문에 대대적인 혁명 수준의 인식 전환 무브먼트로 교육이나 아카데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웅산 제주도세계유산본부 학예연구사 역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 연구사는 "4차산업혁명에 따라갈 수 있는 교육육성전략을 넣었으면 좋겠다. 교육에 투자해서 벤처 재원을 육성하는 게 우선돼야 할 것 같다"며 "공무원 교육시스템이라든지 조직형태에 대해서도 좀 더 고민한다면 일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미래산업육성을 통해 1만명이 넘는 고용을 창출하는 부분에 대해 의구심이 제기되기도 했다.

노희섭 제주도 ICT융합담당관은 "다보스포럼에서 4차산업혁명을 얘기하면서 가장 우려했던 부분은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것이었는데 이번 보고서에서는 일자리가 늘어난다고 나왔다. 전세계가 골치를 앓는 부분과는 정 반대되는 이야기"라고 꼬집었다.

노 담당관은 이어 "이는 연구 결과가 4차산업혁명과 전혀 관련 없거나 혹은 정말 할 수 있는 것 위주로 디테일하게 살펴봤다는 두가지 해석이 나올 수 있다"며 "이 보고서가 베이스 플랜이긴 하지만 실제 변하는 상황을 보며 변경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됐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제주미래유망산업 육성전략은 이날 수렴된 의견을 반영해 오는 23일 최종 방향 설정이 완료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