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동부지역부터 북부와 서부까지 해안가에 구멍갈파래가 퍼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광어양식장 배출수 등에 대한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녹색연합은 9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달 20~22일 제주 연안 전체의 육상양식장과 해변을 중심으로 구멍갈파래 유입 상황을 조사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조사지점 80곳 중 63곳에서 구멍갈파래가 확인됐다.

상습 구멍갈파래 발생 지역인 동부지역뿐만 아니라 북쪽 연안, 대정, 한경, 한림 등 서부지역에서도 구멍갈파래가 발생했다.

특히 육상 광어양식장이 밀집된 동부 해안의 성산, 구좌, 조천, 서부 해안의 한경, 한림 등 21곳에서는 구멍갈파래 발생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조류의 구멍갈파래는 영양염류 흡수율이 뛰어나 다른 해조류 등 해안가 생물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해안 경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마르거나 썩으면서 심안 악취를 풍겨 매년 제주 해변의 골칫거리로 여겨졌다.

앞서 2017년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은 관련 연구를 통해 구멍갈파래의 원인으로 담수에서 유입되는 질산성질소와 주변 양식장에서 유입되는 인(P) 성분을 꼽았다.

녹색연합은 “2017년 구멍갈파래 급증 현상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지만 오염원 관리 대책은 없는 상황”이라며 “이번에 구멍갈파래가 발견된 지점은 인근에 광어 양식장이 있고 조류 흐름이 정체된 만(灣) 형태의 지형이라는 특징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제주 해안가의 구멍갈파래 급증 악순환을 막기 위해서는 양식장 배출수와 생활 오폐수 등 오염원에 대한 관리와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제주에는 2017년 말 기준 육상 양식장 464곳이 운영 중인데 양식장 배출수는 사료 찌꺼기와 물고기 대사활동으로 인한 유기물, 질소 부산물이 섞여 있어 바다로 유입되면 연안 수질 오염을 유발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