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대란, 기로에 선 제주] 7·끝. 시민 실천 절실

[편집자 주] 제주도의 '쓰레기대란'이 눈앞에 닥쳤다.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쓰레기 문제에 대한 강력한 수요억제책을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예고하고 있지만 성과는 미지수다. 쓰레기를 처리할 인프라가 포화상태이기 때문이다. 뉴스1제주는 제주가 직면한 '쓰레기대란'의 실태와 구조적 문제, 개선점을 7회에 걸쳐 살펴본다.
 

말 그대로 '쓰레기대란'이다.

한 집 건너 하나씩 설치된 동네 클린하우스는 쓰레기 무단투기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고, 절경을 자랑하는 제주 해안가는 해류를 타고 떠내려 온 국내·외 쓰레기로 뒤덮이고 있다.

여기에 건축붐에 따른 각종 폐기물까지 쏟아지면서 매립·소각장은 포화 직전이다.

작금의 상황이 오기까지 쓰레기 수요관리 실패라는 행정의 중대한 과실이 있기도 했지만, 이 같은 쓰레기대란의 뒷면에는 시민의식 부족도 한몫을 했던 게 사실이다.

현재 '쓰레기 줄이기'를 제1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각각 '범시민 쓰레기줄이기 실천과제 선정 100인 모임', '쓰레기 줄이기 시민실천 운동본부'를 구성해 시민들과 함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여기서 제기된 일관된 의견은 시민 참여 없는 쓰레기정책은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것.
 

◇ '쓰레기 줄이기 실천' 최우선…환경총량제 제안도
앞서 제주시의 경우 쓰레기 줄이기 100인 모임으로부터 여러 정책제안을 전달받았다. 가장 중점적으로 다뤄진 부분은 음식물 쓰레기, 클린하우스 분리배출, 재활용 등 3개 분야에 대한 실천과제 12건.

쓰레기 줄이기 100인 모임은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해 배출하고, 유리병과 캔류, 비닐은 씻어서 배출하는 한편, 음식점에는 반찬 수를 줄일 것을 제안했다.

클린하우스에 쓰레기를 배출을 할 때에는 재활용품을 철저히 분리해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하고, 낱장 종이는 묶어서, 캔·페트병은 압축해서, 포장용 테이프는 제거하고 배출할 것도 당부했다.

일회용품이 아닌 장바구니 등의 사용을 생활화하고, 요일제 배출과 배출시간을 잘 지킬 것, 쓰레기 무단투기를 하지 않는 등 나부터 실천한다는 의식을 가질 것도 강조했다.

이 외에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환경총량제, 환경기여금(입도세) 제도와 제주도의회 직속 민·관 합동기구 신설 등에 대한 검토를 주문했다.

서귀포시 쓰레기 줄이기 시민실천 운동본부도 가정 쓰레기, 사업장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영농폐기물 등 크게 4개 분야에 대한 시민 실천과제를 모색, 다음달 초순쯤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 "행정·시민 공동노력 필요…'적당한 불편' 감수해야"
결론적으로 보면 배출, 분리, 수거, 처리 단계가 모두 마비되는 '쓰레기대란'을 막기 위해서는 배출 단계에서부터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는 판단이다.

지난날 행정상의 과오가 있었더라도 제주를 깨끗하게 만들기 위한 긴 안목에서 본다면 쓰레기 분리배출 등의 원칙을 지키는 것은 시민들이 감수해야 할 '적당한 불편'이다.

오옥만 쓰레기 줄이기 100인 모임 상임위원장은 "쓰레기정책은 시민들의 생활습관을 바꾸는 방향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돼야 한다. 바꿔 말하면 쓰레기정책이 잘 추진되기 위해서는 시민들도 생활습관을 바꾸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 상임위원장은 "제주가 쓰레기대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관련 정책에 대한 예산과 인력 배정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면서 "그 다음으로는 깨끗한 제주를 위해 쓰레기를 줄이려는 시민들의 각고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장명선 쓰레기 줄이기 시민실천 운동본부 본부장은 "서귀포시의 경우 산업구조에 따라 건축·영농폐기물이 전체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면서 "일반 시민들 뿐만 아니라 사업주들의 자정 노력도 크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장 본부장은 "쓰레기를 줄이는 일 만큼은 행정과 시민이 함께 해 나가야 한다"면서 "이러한 흐름이 제주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들의 동참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