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곳 추가 등재 숙제…훼손 방지책도 필요

[편집자주] 올해 제주가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지 10년을 맞았다. 세계자연유산 등재 이후 관광객 증가와 경제효과 등의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지만 난개발 논란 등 우려도 여전하다. 뉴스1은 세계자연유산 제주 등재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2회에 걸쳐 짚어본다.
 

세계자연유산은 6년마다 재평가를 통해 브랜드 유지를 결정한다.

제주는 2012년 제36차 세계유산총회에서 재평가에 성공했으며 2018년 두번째 재평가를 앞두고 있다.

재평가를 결정짓는 요인 중 하나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제주를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며 권고한 5가지가 잘 이행되고 있느냐다.

IUCN은 Δ지정구역 내 사유지매입 Δ지정구역 내 방문객과 상행위 효율적인 관리계획 수립 Δ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완충지역의 농업행위 관리 Δ주요 화산 지형 조사와 생물다양성 가치 조사 Δ세계자연유산 범위 확대 지정 등이다.

제주도는 지정구역 내 사유지 357필지 344만3392㎡ 매입을 완료했고 거문오름은 탐방객 예약제와 탐방 총량제를 운영하는 등 대부분 순조롭게 이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과제는 세계자연유산 추가 등재다.

세계자연유산 등재는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경쟁이 치열하고 그 선정기준도 점점 엄격해져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추가 등재 후보지역으로는 거문오름상류동굴군, 수월봉, 차귀도, 용머리해안, 소천굴 등 5곳이 거론되다 지금은 용머리해안을 제외한 4곳이다.

용머리해안의 후보 탈락 이유가 제주도의 무관심과 무리한 개발로 훼손돼서라는 지적은 곱씹어볼 부분이다.

용머리해안은 지난해 7월 '세계자연유산지구 확대 타당성 조사 용역' 중간평가에서 A0등급을 받았지만 10월 최종보고회에서는 A-등급을 받아 후보지에서 제외됐다.

탐방객들로 인한 노두(지표면으로 지하암석) 훼손 가능성이 있고 주변지역의 유원지화 등 보호체계 및 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게 등급 하락 이유다.
 

◇난개발 논란 여전…외국인 40% "등재 모른다"

세계자연유산 등재 10년을 맞은 제주는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10년 사이 인구와 관광객 증가, 난개발 논란으로 몸살을 겪었다.

제주도가 세계자연유산이라는 간판을 이용해 양적 성장에만 급급, 정작 보전은 뒷걸음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살기좋은 섬' '한번쯤 가고 싶은 관광지'라는 명성을 이용한 일부 투기꾼과 개발사업자들의 불법행위도 잇따랐다.

올해에만 7월 기준 제주자치경찰이 적발한 산림 훼손 면적을 모두 더하면 8만8538㎡로 축구장(7140㎡) 12개 면적에 달한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세계자연유산 등재 10년을 맞아 낸 논평에서 "화려한 왕관이 지속되려면 진정으로 보전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세계자연유산이라는 이름의 걸맞은 홍보 대책도 향후 과제로 떠올랐다.

제주도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세계자연유산 제주 인지도 조사 및 효과분석' 결과를 보면 인지도 조사에서 도민은 96.1%, 내국인 관광객은 87.3%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외국인 관광객은 40.4%가 모른다고 응답했다.

세계자연유산 방문 여부도 내국인은 6.2%만 방문한 적이 없다고 했지만 외국인은 32.4%가 방문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세계자연유산 모니터링 강화와 전문 인력의 확보도 응답자의 80% 이상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지역 주민 참여 확대도 도민 86.1%, 내국인 관광객 79.1%, 외국인 관광객 88.2%가 중요하다고 응답해 세계자연유산마을 주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정부차원에서의 지원 확대 방안 마련과 해외 세계자연유산 지역과의 교류 강화 방안 마련도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